복권당첨 실수령액
로또 연금복권 스피또 등
200만 원 비과세
■ 복권
많은 분들이 일확천금의 기회를 꿈꾸며 복권을 하시는 분들도 있고, 재미 삼아 소액의 금액으로 복권을 사서 선물하시는 경우도 있죠. 누구나 한 번쯤 꿈꿔봤을 복권 1등 당첨의 기회. 막상 사면 1등~5등으로 나누어봤을 때 5등이 당첨되기도 힘든 경우가 허다한데요. 만약 로또나 타 복권등이 당첨되었을 때, 세금을 제외한 실수령액은 얼마가 되는 걸까요? 오늘의 포스팅을 통해 국민들이 자주 구매하는 대표적 복권 3가지인 로또, 연금복권, 스피또의 간단한 개념과 세금 및 실수령액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* 2023년 1월 1일부터 복권당첨금의 세금이 200만 원 이하까지 비과세로 변경되었습니다.
■ 로또
국민들 중 가장 많은 분들이 선호하는 복권 종류로, 45개의 번호 중 6개의 번호를 맞추면 되는데요. 평균적으로 1등이 당첨되게 되면 세금을 제외하고 10~20억을 수령하게 됩니다. 판매기가 설치된 복권판매점, 편의점 혹은 인터넷 등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.
1) 등수별 당첨금액
로또의 경우 등수 별 당첨금액이 해당 회차 1등이 나오니 않을 경우 이월(최대 2회)이 되기 때문에 때마다 변동이 되기 때문에, 자세한 금액에 대한 사항은 동행복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겠습니다.
2) 세금
로또의 경우 통상 100만 원가량의 금액을 수령하는 3등부터 5등까지는 별도 공제 없이 전액 수령할 수 있겠습니다.
- 비과세 : 200만 원까지
- 200만 원 초과 3억까지 : 22% (소득세 20% + 주민세 2%)
- 3억 초과분 : 33% (소득세 30% + 주민세 3%)
예시) 로또 1등 20억 당첨
3억까지의 세금 22% =6천6백만 원
3억 초과분 17억의 세금 33% =5억 6천1백만 원
총 6억 2천7백만 원
20억 당첨 시 세금 6억 2천7백만 원을 제외한 실수령액 13억 7천3백만 원 되겠습니다.
■ 연금복권 720
그다음으로 국민들이 선호하는 복권중 하나인 연금복권, 2020년 4월 30일부터 연금복권 720이 출시됨에 따라 연금복권 520은 폐지되었습니다. 로또처럼 일시지급되는 개념과는 다르게 1등 당첨 시 달마다 월 700만 원씩 (세금을 제외 월 546만 원 ) 20년간 지급받게 되는데요.
5개로 이뤄진 조중에 1개를 선택하시고 0~9까지의 6개의 번호를 맞추면 됩니다.
예시) 1조 548604, 4조 846310 등
확률 상으로 봤을 때에는 로또보다 1.6 배 높은 당첨확률을 갖는 게 특징이며, 복권 판매점 혹은 인터넷으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.
1) 등수별 당첨금액
2) 세금
- 일 시급으로 지급되는 고액(3억 초과)의 당첨금 같은 경우는 33%의 세율이 적용되지만 연금복권의 경우 달마다 금액이 지급되기 때문에 세금은 22%가 적용됩니다. 200만 원까지는 비과세 이므로 3등부터는 당첨금 전액을 수령하겠습니다.
■ 스피또(즉석복권)
번호를 고를 필요 없이, 판매점 혹은 편의점에 비치된 복권을 구매하여 즉석 해서 확인하여 당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. 스피또 500, 스피또 1000, 스피또 2000으로 나뉘며 구매가와 당첨금액도 다르겠습니다. 복권판매점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.
1) 등수별 당첨금액
2) 세금
스피또의 경우 일 시급으로 지급이 되기 때문에 로또와 동일한 세율을 참고하여 실수령액을 계산하시면 되겠습니다.
- 비과세 : 200만 원까지
- 200만 원 초과 3억까지 : 22%
- 3억 초과분 : 33%
여기까지 각종 복권별 세금 및 실수령액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 정부에서 2023년부터 200만 원까지 복권당첨금액의 비과세를 늘려, 희소식이 아닐 수 없는데요. 복권은 소액으로만 즐기셨으면 좋겠고,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
'금융&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프라인과 온라인 시장의 미래 :: 대형 슈퍼마켓 까르푸의 몰락 (0) | 2023.02.15 |
---|---|
야간 근로(근무) 수당 기준 및 계산 방법 :: 편의점 알바도 해당? (0) | 2023.02.14 |
연말정산 부양가족 기준 :: 부모님의 소득과 국민연금 한도 및 조건 (0) | 2023.02.08 |
현직장, 전직장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발급 방법 (홈택스 등) (0) | 2023.02.03 |
다주택자 양도세 완화 및 세금 개편 (종부세, 취득세, 2주택자 등) (0) | 2023.01.28 |
댓글